반응형

무역 거래 일반 21

물류 관련 용어 정리 (FCL, LCL, CY, CFS)

포워더와 업무를 진행하면서 듣게 되는 빈번한 용어인 FCL, LCL 화물에 대한 개념과 CY, CFS 용어를 알고 가보자 컨테이너에 적입하는 방법은 2가지가 있다. 모두 채우는 것과 일부만 채우는 것! 화물이 많은 경우에는 컨테이너 하나에 다 채우면 되지만 적은 경우에는 컨테이너에 채우고 남는 공간이 너무 많아지기 때문에 운임 낭비가 상당하다. 하여 적재량이 적은 경우에는 일부끼리만 모아서 하나의 컨테이너를 모두 채워서 운임을 나누는 방식을 취하고 있는 것이다.  ■ FCL : Full Container Load FCL은 한개의 컨테이너를 한명의 화주가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부피가 큰 물건들을 수입하거나, 개별이라도 그 양이 많은 경우 이용하는 방법이다. 다른 물량하고 섞여서 선적하지 않기 때문에 선..

RoRo, Bulk, Container 선적

물품을 선적하는 경우는 3가지 이다. 각각 알아보면서 어떤 장점과 단점이 있는지와 주의 사항에 대해서 알아보자. ■ RoRo선 크레인을 사용하지 않고 선측과 암벽 사이에 걸쳐놓은 Ramp를 통해서 화물을 적재한 트럭이나 트레일러가 그대로 선내에 들어가 양하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자동차를 싣는 선박이 주로 RoRo선이며, 자동차가 아닌 경우에는 트랜스포터라는 별도의 자가 구동 가능한 것을 같이 arrange 해야하기에 비용이 많이 나올 수도 있다. 또한 무게가 상당하다면 배에 싣기 위해서 배와 항구를 이어주는 Ramp중량을 확인하고 선적을 해야함을 주의해야한다.  ​ ■ Bulk선 곡물, 석탄, 광석 등을 포장하지 않고 그대로 싣고 수송하는 화물선이다. 보통 원료 운반이 주요 임무이기 때문에 운..

신용장(L/C) 업무 절차 & 특성

신용장, 흔히 말해서 엘씨라고 부르는 Letter of Credit의 경우에는 은행을 경유해서 거래하는 거래이다. 일반적인 송신환 방식인 T/T와 달리 L/C를 사용해서 거래하는 경우는 은행을 경유하기에 상대적으로 좀 더 안전하다. 이 신용장 거래의 경우에는 처음에 접근하다보면 상당히 구조와 업무 스킴이 헷갈리는데 쉽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계약단계와 거래단계로 2가지를 구분해서 접근해서 이해하는 것이 수월하다.  ■ 계약 단계 수익자(Beneficiary)가 수출자(Shipper)가 되고, 개설의뢰인(Applicant)은 수입자(Buyer)가 된다.수출자와 수입자가 매매계약을 하게 되면, 무역계약조건 중에 대금지급 조건에서 신용장 방식을 선택함으로써 수출업자의 명칭은 Beneficiary, 수입업자의 명칭..

무역 거래 C 조건 알아보기 (CFR,CIF, CTP, CIP)

무역 거래 중에 사용되는 C 조건에 대해서 알아보자. 이전에 F 조건에 대해서 소개를 해본 적이 있다. 해당 건과 동일하게 아래 그림을 같이 보면서 이해하면 도움이 될 것이다. 4가지의 C 조건 중에서 CFR과 CIF 조건이 거래의 90% 이상 육박한다고 이해를 하면 된다.  ■ CFR : Cost and Freight​"운임포함조건"을 의미한다. 매도인은 지정된 목적지까지 물품을 운송하는데 필요한 비용과 운임을 지급하여야한다. 그러나 위험은 선적항에서 본선의 난간을 통과한 이후부터는 매도인으로부터 매수인에게 이전된다. 즉, 운임만 수출상이 부담할 뿐, 위험에 대한 비용은 수입자가 관장하는 형태이다. 따라서 선적이 된 이후에 화물이 손상이나 분실된 경우, 매도인의 책임이 아닌 매수인의 책임이다.  ■ C..

CBM 계산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기 (+CBM 계산기)

무역거래에서 운송비는 무엇으로 계산될까?무게? 품질? 등등 여러개가 있겠지만, 배에 싣어야되는 부피가 가장 중요하기에 일반적으로 CBM으로 논의를 한다.​CBM은 Cubic Meter의 줄임말로 무역거래를 하는 사람들에게는 필수적인 용어이다.​가로 x 세로 x 높이의 세제곱미터(m3)의 옛 표기이다. 계산법은 아주 간단하다.화물의 가로, 세로, 높이를 meter로 환산하여 곱한 결과치를 말하며, 1CBM 이라고 하면, 가로, 세로, 높이가 1m인 정육면체로 생각하면 된다. ​실무적으로 조심해야할 것은 물품을 포장 시에 팔레트 위에 얹어서 같이 포장하는 등의 포장 방법으로 인하여 CBM이 늘어날 수 있기에 조금 여유를 두고 선사 측과 논의를 해야하는 것이다. 비용이 줄어드는 건 이해할 수 있지만 늘어나는건..

OEM & ODM 알아보기 (서로 무엇이 다를까?)

무역 관련해서 일을 하다보면 OEM과 ODM 이라는 용어를 한번은 접하게 된다.만약에 회사가 공장을 소유하고 있으면 못 들어볼 수도 있을 수도 있으나 조금만 공부를 하면 해당 건에 대해서 알 수 있게 된다. 거래처와 업무를 같이 하면서 용어를 모르는 것만큼 부끄러운 것도 없다.  그렇다면 OEM과 ODM은 무엇이고 이 2가지는 무엇이 다를까?하나씩 좀 더 자세히 알아보자   OEM : Oreginal Equipment Manufacturer​- OEM은 주문자 상표 부착 생산을 말하는데 쉽게 말해서 위탁해서 생산하는 것을 말한다.- 주문자는 제품의 개발까지 진행하고 생산을 다른 업체가 맡기는 형태이다.  (색상, 기능, 사소한 부분까지 전부 포함되어 있다)- 제품에 대한 아이디어는 있으나 제조시설, 설비..

L/C at sight 와 Usance L/C

CWO, CAD, COD 등을 포함하여 여러가지 Payment Term이 있지만 사실상 업무를 하면서 가장 많이 마주하게 되는 것은 T/T 결제 또는 L/C 거래 건들이다. 간혹 O/A 조건도 있지만 위험성이 있기에 잘 사용하지 않는 편이다. 여하튼 L/C 거래가 상당히 많이 이뤄지는 편이고 L/C는 크게 2가지 Case로 나누어 진다. L/C at sight- 명칭 : 일람출급, 일람지급, 일람불- 지급시기 : 즉시 지급 (5영업일 이내 지급)- 서류 불일치 : 지급 거절 통보- 통보 시기 : 서류 접수 다음 5영업일 이내 통보​Usance L/C- 명칭 : 기한부, 연(후) 지급- 지급시기 : 인수 통보 (인수통보 후 만기 지급)- 서류 불일치 : 인수 거절 통보- 통보 시기 : 서류 접수 다음 5영..

가장 안정적인 대금 조건 (T/T in advance & L/C at sight)

수출을 하면서 거래 조건에 대한 협상도 중요하지만 그거에 앞서서 훨씬 더 중요한 것이 있다.과연 그것은 무엇일까? 돈을 어떻게 받을 것인지 협의하는 것이다. ​무역 거래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Payment Term을 사용한다. (T/T 30일, O/A, L/C, Usance L/C, D/A 등등) 하지만 수출자가 가장 흔하게 이용하는 방법은 2가지 이다.  가장 안전한 결재 방식이기 때문!    T/T (Telegraphic Transfer) : 전신환송금방식 - 줄임말로 T/T라고 사용하고 전신환송금방식으로 수입자가 수출자에게 직접 돈을 송금하는 방식- T/T in advance or 선적전 T/T 라고 하여 물품을 보내기 전에 대금을 받는 것이 일반적이며 가끔 T/T 30日 등의 조건을 사용하기도 한다..

무역 거래 F 조건 알아보기 (FCA,FAS, FOB)

무역 거래 중에 사용되는 F 조건에 대해서 알아보자. 아래 그림을 참고하면서 보면 큰 도움이 될 것이다.사실 이 3가지 중에서 FOB 조건이 거의 90% 이상 육박한다고 이해를 하면 된다.   ■ FCA : Free Carrier​FCA는 매도인이 지정한 장소에서 매수인이 지명한 운송인에게 수출통관 물품을 인도하는 것을 뜻한다. 매도인의 영업소에서 거래가 되면 매도인은 물품을 적재할 의무를 지니고, 제3의 장소에서 행해지면 매수인은 매도인의 차량으로부터 양하하는 의무를 지닌다. 해당 건은 국내에서 거래 간에 이루어지는 경우가 종종 있다.  ■  FAS : Free Alongside Ship​물품이 지정된 선적항에서 선측에 두어졌을 때, 매도인이 인도하는 것을 뜻하고 이후부터 매수인은 분실, 손상에 대한 ..

가장 많이 사용되는 FOB vs CFR vs CIF 관련 정보

실무에서의 무역거래의 90% 이상이 FOB 또는 CFR / CIF 거래로 이루어진다. 3가지 건만 명확히 알고 있어도 기본적인 업무를 초반에 시작함에 있어 문제가 없다. ​ 먼저 FOB와 CIF 를 구분하여 알아보자주요 거래조건인 FOB 와 CFR, CIF에 대해서 1) 비용의 분기점 2) 위험의 분기점을 구분할줄 알아야 한다. 일단 FOB와 CIF 가 무엇인지 알아보자 FOB : Free on Board​FOB는 "본선인도조건"을 말한다. 물품은 지정된 선적항에서 매도인에 의하여 본선내로 반입되는데 분실이나 손상에 대한 위험은 선박의 선측 난간을 통과할 때 매도인에서 매수인으로 이전된다.즉, 수출자는 매수인이 지정한 본선상에 인도함으로써 비용과 위험은 더 이상 연관이 없으며, 매수인은 이후부터 소유권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