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S Code와 HSK Code에 대해서 알아보자. 무역업에서 일을 하다보면, HS Code라는 용어에 대해서 들어보게 된다. 그리고 또 어딘가에서는 HSK Code라고 칭한다. 이 2가지에 대해서는 무엇이 똑같고 무엇이 다른 것일까?
■ HS Code
국가 간 상품 거래를 위해 상품의 종류를 숫자 코드로 분류한 것을 말한다. 총 6자리 숫자로 구성되어 있다. 전 세계가 언어가 다르기에 같은 물품이어도 칭하는 말이 다 다르기에 혼동되지 않게 6가지 종류의 Code를 부여하여 서로 간에 혼란을 방지하는 것이라고 이해하면 된다.
■ HSK Code
눈치 빠른 사람은 발견했겠지만, 기본 6자리 뒤에 4자리를 추가하여 우리나라에서는 사용한다. 대품목 안에서 소품목으로 나눠서 구분하기 위함이라고 이해하면 된다. 국제적으로 HS Code 는 동일하고 뒤에 4가지는 대한민국 안에서 구분하기 위해서 추가적인 구분을 해둔 것이라고 이해하면 된다.
HS Code는 관세청 홈페이지에서 조회할 수 있다.
1. 관세법령정보포털에 접속
2. 세계HS탭 클릭
3. 품목명 검색
관세법령정보포털 CLIP
unipass.customs.go.kr
2024.10.04 - [무역 거래 일반] - B/L (Bill of Lading) 관련 용어들 (SR / CBL / OBL / MBL / HBL)
B/L (Bill of Lading) 관련 용어들 (SR / CBL / OBL / MBL / HBL)
대표적인 선적 서류 (CI, PL, BL) 중에서 가장 중요한 서류 한가지를 꼽으라고 하면 당연히 BL 이다. BL은 Bill of Lading 의 약자로 선하증권이라고도 하는데, 이는 물품을 인수할 수 있는 권리증으로 이
tradeinformation.tistory.com
'무역 거래 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자 무역에 대해서 알아보기 (무역이랑 다른건가?) (1) | 2024.11.09 |
---|---|
대한민국 FTA (Free Trade Agreement) 현황 (feat, FTA 개념) (1) | 2024.10.19 |
비슷하지만 다른 SURRENDER BL & SEAWAY BILL (0) | 2024.10.06 |
B/L (Bill of Lading) 관련 용어들 (SR / CBL / OBL / MBL / HBL) (1) | 2024.10.04 |
무역 관련 반드시 알아야 되는 서류 3가지 (CI, PL, BL) (1) | 2024.10.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