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거래에 있어 대표적인 서류 3가지는 CI, PL, BL 이다.계약을 하고 업무를 진행할 때 정말로 여러가지 서류 등이 있지만 (선적의 경우에는 선적서류 (Shipping Documnets) 전후과정에서 출발지/도착지와 항구간 운송서류 (Transpor Documents)) 업무를 진행하는데 있어서 반드시 알아야 하는 서류 3가지는 CI, PL, BL이다.
업무를 하는 많은 실무자들이 해당 건에 대해서 마치 관습적으로 사용하지만 문건과 용어를 자세히 들여다보고 개념을 명확하게 설명해달라고하면 다소 난감해하거나 어려워하는 인원도 다수를 보았다. 그렇기에 업무를 함에 있어서 용어에 대해서 명확한 정의를 알고 있어야 어느누가 질문을 던져도 명확한 답변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 상업송장 - CI (Commercial Invoice)
송장은 견적송장과 선적송장으로 구분되는데, 견적송장은 구체적인 계약 성립 이전에 수출자가 바이어에게 가격 계산의 자료를 제공하는 견적 송장을 의미한다. 선적 송장은 실제로 거래가 성립되고 물품을 선적하는 과정에서 작성하는 송장이다. 보통의 상업송장은 선적송장을 의미한다. 쉽게 말해서 견적 송장은 인터넷에서 무엇을 구매하였을 때 발행되는 계산서라고 보면되고, 선적 송장은 택배가 도착했을 때 붙어있는 것으로 비유해서 이해하면 좀 더 쉽다. (견적송장은 Proforma Invoice 용어로 실무에서 주로 사용)
■ 패킹리스트 - PL (Packing List)
선적 송장에는 가격적인 부분과 함께 Packing List도 수반되는데, 무게정보, CBM 정보 등의 제원들을 입력하여 선사 또는 하역사에서 해당 서류를 토대로 선적을 진행하고 비용을 계산하게 된다. 간혹 무게정보나 CBM 정보에서 큰 차이를 보이는 경우, 상호간의 비용계산에 문제가 생기거나 실 선적과정에서 불일치로 선적이 불가한 경우가 생길 수 있기에 자세히 확인하여 작성이 되어야한다. 간혹 패킹리스트가 인보이스보다 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해당 건으로 인해서 선적이 거절되거나 선적 과정에서 내 화물로 인해서 다른 화물의 진행에 문제가 생겼을 때, 정말로 곤란한 경우가 생길 수 있기에 제원 정보 확인도 굉장히 중요하다.
■ 선하증권 - B/L (Bill of Loading)
3가지 서류 중에 가장 중요한 서류를 꼽으라고 한다면 당연히 BL이다. 선하증권이라고도 불리며, 운송인이 위탁받은 화물을 선적했다는 것을 증빙하기 위해서 그리고 양륙항까지 운송하여 화물을 인도할 것을 약속한 화물의 수취증이다. 도착지에서는 B/L이 있어야지만 물품 인수가 가능한 경우가 대부분이며, BL의 종류는 여러가지로 분류 된다. (CBL, HBL, MBL, OBL 등등) B/L의 특성으로는 요인성, 요식성, 문언성, 유통성 등을 꼽을 수 있는데, 쉽게 말하면 B/L을 활용하여 물품에 대한 소유권이 이전된다.
2024.09.08 - [무역 거래 일반] - 무역 거래 C 조건 알아보기 (CFR,CIF, CTP, CIP)
무역 거래 C 조건 알아보기 (CFR,CIF, CTP, CIP)
무역 거래 중에 사용되는 C 조건에 대해서 알아보자. 이전에 F 조건에 대해서 소개를 해본 적이 있다. 해당 건과 동일하게 아래 그림을 같이 보면서 이해하면 도움이 될 것이다. 4가지의 C 조건 중
tradeinformation.tistory.com
2024.08.04 - [무역 거래 일반] - 무역 거래 F 조건 알아보기 (FCA,FAS, FOB)
무역 거래 F 조건 알아보기 (FCA,FAS, FOB)
무역 거래 중에 사용되는 F 조건에 대해서 알아보자. 아래 그림을 참고하면서 보면 큰 도움이 될 것이다.사실 이 3가지 중에서 FOB 조건이 거의 90% 이상 육박한다고 이해를 하면 된다. ■ FCA : F
tradeinformation.tistory.com
'무역 거래 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슷하지만 다른 SURRENDER BL & SEAWAY BILL (0) | 2024.10.06 |
---|---|
B/L (Bill of Lading) 관련 용어들 (SR / CBL / OBL / MBL / HBL) (1) | 2024.10.04 |
포워더 (Forwarder) 개념과 역할 알아보기 (0) | 2024.10.01 |
해상 보험 종류 & ICC 약관 알아보기 (6) | 2024.09.25 |
컨테이너 종류별 제원 (CBM )정보 (+45FT 컨테이너) (1) | 2024.09.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