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관련 취업을 하려고 하면 취준생들이 알고 있는 2가지 자격증이 있다.
1) 국제 무역사
2) 무역영어
무역업을 하면서 어떤 능력을 키우고 공부해야 하는 것일까?
그리고 영어는 어느정도 수진이 되어야할까? 무역영어1급을 반드시 취득해야하는걸까? 등의 의문이 있었을 것이다.
결론만 이야기하자면 무역을 하기 위해서 가장 필요한 능력은 아래 2개라고 생각된다.
1) 문제 해결 능력
2) 인간 심리 파악과 협상력
업무를 함에 있어서 계속해서 처음보는 케이스의 문제 상황이 발생되는데 이것을 어떻게 해결해나갈지에 대한 능력이다. 사실 큰 일이 터지면 마음 같아서는 도망가고 싶지만 거기서 도망가지 않고 끝까지 해결을 해야되는 능력이 필요하다. 그리고 그런 인력이 핵심인재로 거듭날 수 있다.
둘째로는 인간의 심리 파악과 협상 능력이다. 인간의 심리가 어떠한지를 파악하여 농담을 섞어서 분위기를 잘 이끌어가야하고, 내가 원하는 바를 얻기 위해 주고 받는 과정을 거치면서 결국에는 Win-Win을 하는 것이 핵심이다.
그렇다면 영어는 어느정도 해야할까? 무역영어 1급 자격증은 꼭 필요한 것일까?
결론은, '무역영어를 굳이 딸 필요가 없으나 영어로 의사표현을 못하는건 문제가 있다' 이다.
대부분 영어로 비지니스를 한다. 업무를 하면서 능력이 업그레이드 되는 것은 비지니스 매너와 비지니스 영어 표현이다. 이런건 글로 배운다고 되는 문제가 아니고 실제로 겪어보고 창피도 당해보면서 몸에 익혀가야되는 부분이다.
실제로 무역영어라고해서 별도의 용어를 쓰는 것은 아니다. 무역영어는 무역관련 업무를 영어로 이야기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그 안에는 FOB, CIF, T/T, L/C 등의 용어등이 상충되어 있을 뿐이다.
2024.08.10 - [무역 거래 실전] - 대한민국의 무역은 미래가 밝다!
대한민국의 무역은 미래가 밝다!
'무역' 이라는 용어를 검색해보면, '국민 경제간의 상품 교환' 으로 요약되어 있다.나도 회사에 입사해서 일하기 전에 '무역'이라는 용어만으로도 상당한 위화감을 느꼈던 것 같은데, 익숙해지고
tradeinformation.tistory.com
'무역 거래 실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물류비 예측은 아무도 못한다고 하는데.. (+ SCFI 지수) (5) | 2024.09.08 |
---|---|
(현직 실무자가 알려주는) 생산 납기가 아슬아슬 할 때 대응 방법 (0) | 2024.08.21 |
(현직 실무자가 알려주는) 선적 전에 반드시 챙겨야 하는 2가지 (0) | 2024.08.16 |
(현직 실무자가 알려주는) 대한민국의 무역은 미래가 밝다! (0) | 2024.08.10 |
(현직 실무자가 알려주는) 업무 시작 전에 반드시 해야할 것 (Outlook Tree 구성) (0) | 2024.08.03 |